UI·UX/UX

[1주차/UX] 리서치의 개괄 및 인터뷰, 관찰

hongchaewon 2024. 9. 27. 20:17

 

2. 리서치의 개괄 및 인터뷰

  1) 인터뷰 방법의 특징

  2) 이야기를 통해 사람에게 배우기

 

3. 관찰

  1) 관찰의 특징과 종류

  2) 다양한 관찰연구의 방법들

 


 

2. 리서치의 개괄 및 인터뷰

  1) 인터뷰 방법의 특징

 

 

리서치

UX 디자인 프로세스의 첫 단계

발산적인 성격을 갖기 때문에 섣불리 결론을 내리기보다 일정한 시간까지 조사 내용을 계속 모아나가는 것이 좋음.

작은 결론을 내리기는 하지만 확정 짓거나, 상위 차원의 결정을 내리지 않는 태도가 좋음.

 

 

리서치 방법

다양한 방법들이 있지만, 밑줄 친 방법들이 리서치 단계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방법이라고 함.

분류 기준 방법
리서치 방법과 리서치로 얻어진 자료의 성격에 따른 분류 양적조사 질적조사  
자료 수집 환경에 따른 분류 데스크 리서치 연구실 조사 현장 연구
연구 목적이나 진행 단계에 따른 분류 탐색적 조사 기술적 조사 인과관계 조사
논리 전개 방식에 따른 분류 귀납적 연구 연역적 연구  
연구 주제에 따른 분류 일차 조사 이차 조사  

 

 

조사계획 수립

간접 조사 온라인 데스크 조사 문헌 및 서적 조사 트렌드 조사 경쟁업체 동향 / 이슈 분석
직접 조사 관찰 인터뷰 / FGI (포커스 그룹 인터뷰) 설문 조사
  정성적                                                                    정량적

 

* 무엇이 더 효과적이고 중요한지는 때에 따라 변하지만 주로 디자인 리서치 -> 정성 조사 / 통계 기법, 데이터 마이닝, 빅데이터 -> 정량 조사 방법이 유용하게 사용된다. 

 

 

 

삼각측량법(Triangulation)

안정적이고 타당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리서치 방법을 다각화해야 한다. 

연구와 프로젝트의 성격에 따라 융통성 있게 구성하여 조합하자.

 

<현장 관찰>                   행동      <인터뷰 설문>       언어     <UT 실험>                              개입

Field Observation Shadowing + Interview Questionnaire + Usability Test Think-Aloud Protocol 

 

 

데스크 리서치

다른 사람이 다른 목적을 위해 이미 조사한 내용을 참고하여 사용하는 이차조사와 문헌 조사의 성격을 띤다.

 

(1) 이차 조사 자료에 대한 자신의 관점과 조사 목표를 유지한다.

      - 맹목적인 조사 X, 보고서 분량을 늘리기 위한 조사 X, 프로젝트의 목표와 무관한 자료 조사 X

      - 이차 조사에 대한 명확한 목표와 계획 설정 필요

(2) 반드시 참조 달기

      - 참조를 통해 자료 추적이 가능하며 차인이 만들어 놓은 지적 자산을 존중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 참조 표시는 각주, 미주, 그림(아래) 및 표(위) 출처를 명기하는 방식으로 가능하며, APA 양식 등을 사용한다.

      - 인용은 가공되지 않은 원문, 원자료를 인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PESTPILO

STEEP : 사회(Social) + 기술(Technology) + 경제(Economic) + 환경(Environment) + 정치(Political) 분석

PESTEL : 정치(Political) + 환경(Environment) + 사회(Social) + 기술(Technology) + 경제(Economic) + 법률(Legal) 분석

 

 

 

 

  2) 이야기를 통해 사람에게 배우기

 

전문가(Expert) 인터뷰

쓸 만한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확하고 압축적인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음.

다만 인터뷰이를 찾기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듦.

델파이 기법(전문가 합의법)

전문가 패널 설정 - <패널에게 질문 - 결과 종합> - 의견일치(합의)

극단적 사용자(Extreme User) 인터뷰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예측 가능한 인사이트가 나오지만 양극단의 사용자들에게서는 새로운 인사이트 도출 가능.

FGI(Focus Group Interview)

90분 전후의 시간 동안 특정 고객 그룹, 이해관계자, 전문가를 그룹(6~10인)으로 만나 진행자가 주도하여 집단 인터뷰.

비대면 인터뷰

시간과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물리적 준비물이 줄어듦. 인터뷰 내용의 디지털라이징이 손쉬움.

안정된 인터뷰 상황 필수적, 인터뷰에서 몰입할 상황이 깨지기 쉬움. 

 

 

 


 

 

3. 관찰

  1) 관찰의 특징과 종류

 

관찰

가장 질적인 연구방법이자 디자인 방법

관찰을 통해 새롭게 보는 것이 중요함(e.g. OXO 앵글드 메저링 컵)

관찰은 가장 대표적인 리서치 방법이지만 자료화하기 어렵기에 적용을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함

 

에스노그라피 (Ethnography)

문화인류학을 중심으로 발전된 연구 방법으로, 관찰 집단에 연구 대상자가 들어가서 직접 참여하며 관찰하는 방식

특정 브랜드의 사용, 기술 활용 가능성 등의 특정 시각에서 본 목표를 가지고 관찰

제품을 둘러싼 환경 및 사용자의 행동을 단기간(1~2주) 관찰

Photo diary, Home visit, Video ethnography, FGI 방법 사용

제품 UX / 서비스 형태의 결과물 산출

 

 

 

    관찰 행동
    은폐 (대상자로 봄) 노출 (참가자로 봄)
관찰 대상에게 비개입 Fly on the wall Shadowing
개입 Undercover agent Contextual Inquiry / UT 관찰

 

 

Fly on the wall

활동이 벌어지는 현장으로 가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눈에 띄지 않게 관찰

Shadowing

대상자를 따라다니면서 행동을 관찰하고 결과를 A day in a Life 방법으로 정리

Contextual inquiry

대상자의 활동 공간에 가서 행동에 대한 질문을 하는 인터뷰 형식의 현장 방문 조사

Undercover agent

관찰행동을 숨긴 채 직접 인터랙션하며 벌어지는 일을 관찰하는 실험적 방법

 

 

 

 

  2) 다양한 관찰연구의 방법들

 

Immersive Research (Service Safari, Becoming User)

스스로 User가 되어 연구 대상에 대해 깊이 이해. 관찰 대상 그 자체가 되며 구분이 되지 않는다. 

매우 감정 이입적, 별도의 참가자 섭외가 필요 없음. 

 

User Diary

참가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전제로 하는 방법이며, 참가자가 연구 주제에 대해 자신의 경험을 기술하고 보고함

자기 보고형 관찰이기 때문에 관찰이 불가능한 공간, 시간에 대해 실시하 연구 주제에 대해 깊이 이해 가능.

조사 양식은 정형화 되어 있지 않지만 보통 전후에 FGI를 실시해 심층적인 이해를 추구함.

 

비디오 다이어리 / 에스노그라피

고정된 카메라 기법을 사용하여 피관찰자의 자연스럽고 무의식적인 행동을 포착하지만, 의미있는 장면 발굴의 어려움.

 

모바일 / 디지털 에스노그라피

참여자들의 스마트폰으로 각자의 정보를 수집한 디지털 자료이므로 전통적 리서치보다 처리와 분석에 효과적이다.

모바일 / 사용시간, 보유한 디바이스 종류, 주/부 사용앱, 사용(task) 내용, pain point, 바람/개선점, 등 조사.

 

(Cultural) Probe

참여자들에게 작은 패키지 제공 후 참가자 스스로 결과물을 제작하고 과정을 보고하도록 하여 통찰을 이끌어내는 방법.

Probe(무인 탐사선)는 사용자라는 미지의 영역을 탐색하는 도구라는 뜻이며 Text 형식의 User Diary와 차이점을 가짐.

구성/사전조사 - 패키지 제작 및 전달 - 프로브 작성 - 프로브 결과물 해석 - 심층 인터뷰

                                                              <사용자>             <리서처>

 

UT 관찰 : with sacrificial prototype

사용성 테스트의 프로토타입을 이용한 적극적 개입 방식의 관찰

본격적인 인터뷰의 사전 단계이며, 사용자/고객에게 프로토타입을 주고 task를 시킨 후 그 과정을 관찰하거나 제안 유도

디자인안을 검증/확인하기 위한 테스트가 아닌 질문을 유도하거나 사용자 반응을 탐색하기 위한 프로토타입

 

Behavioral Map / Tracing

공간에서의 이동 동선과 행동을 평면도 상에 나타내는 맵

트레이싱의 결과를 공간상에 표현함으로써 공간활용도, 이동 행태, 이동 순서 등을 파악

공간에서의 행동이 절차화/정형화 되어 있으면 큰 통찰력을 이끌어낼 수 없기에 적당한 수준의 규정성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