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I·UX/UI

[9주차] 인터랙션과 사용성 & 접근성과 유니버셜 디자

hongchaewon 2024. 11. 24. 18:23

03. 인터랙션과 사용성

1) 인터랙션의 종류

 


3-1. 인터랙션의 종류

 

정보통신, 디자인에서의 interaction :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 HCI(Human-Computer Interaction)

    - MMI(Man-Machine Interface/Interaction)

    - HMI(Human-Machine Interface)

인터랙션의 방법

  1) Touch Interaction

      멀티터치 인터랙션: 표면이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접촉 지점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

      감압식: 누르는 힘을 감지해서 위치 탐색

        - 손가락이 아닌 비도체로도 작동 가능 but 느린 반응속도와 멀티터치 기술 적용 어려움

      정전식: 전도체가 닿을 때 전류의 변화 인식

       - 전도체만 인식해 오작동 가능성이 낮고 반응속도가 빠르며 선명한 액정 제작 및 멀티터치를 통한 스크롤과 필기가 가능하지만 높은 소비전력과 두꺼운 장갑으로 터치가 어렵고 제조단가가 높음

      Double Tap, Flick, Drag, Pinch In, Pinch Clode, Spread, Rotate, 등

2) Gesture Based Interaction

     Motion Tracking Interface : 손가락 제스쳐를 인식하여 사진 찍기, 와콤 태블릿, 마우스로 그림그리기, 등

3) VUI (Voice User Interaction) : 음성 인식을 사용해서 음성 명령을 이해하고 질문에 대답하고 텍스트를 음성으로 재생

4)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 제스처 유저 인터페이스와 보이스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

5) WIMP : GUI의 일종

6) WYSIWYG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3-1. 사용성이란 무엇인가

 

인터랙션의 방법

  7) 햅틱 : 힘이나 진동, 모션을 적용하여 터치 경험을 생성하는 기술

  8) 글자를 이용한 인터랙션

     Command Line Interface : 키보드로 명령 문자어를 입력해서 응답을 받아내는 방식

  9) 대화형 인터랙션

      문자로 인공지능과 대화

      대화형 인터랙션은 광범위하게 확산될 것

  10) 권한 기반 인터페이스 : 로그인하는 사람에 따라 다른 권한을 부여하는 것

 

Usability

ISO : 전 세계에 많은 회원국을 거느리며 영향력이 큼. 발의된 표준 권고는 대부분 협약을 통해 제도화

   - 사용성의 대상 : system, porduct, service

   - 사용성의 목적 : effectivity, efficiently, with satisfaction

   - 사용자의 사용 맥락 : 시스템, 제품, 또는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는 사람

 

사용자의 다양한 범주

1) 사용자: 시스템을 동작하는 사람, 시스템의 결과물을 사용하는 사람, 시스템을 지원하는 사람

2) 사용자 그룹: 사용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용자, 작업 또는 환경에 의해 다른 사용자와 구별되는 사용자의 집합

3) 이해관계자: 결정이나 활동에 영향을 미치거나, 영향을 받거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사람 또는 조직

 

사용성의 대상

1) 서비스: 고객이 달성하고자 하는 결과를 제공하여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수단

2) 시스템: 하나 이상의 명시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된 상호작용하는 요소의 조합

                 한 환경에서 자체적으로 사용 · 작동 · 지원에 필요한 모든 관련 장비, 시설,
                 재료, 컴퓨터 프로그램, 펌웨어, 기술 문서, 서비스 및 인력 등 모두 포함

                 제품, 서비스, 환경 또는 이들의 조합 및 관련된 사람

 

사용성의 목적

1) 효과성: 사용자가 지정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정확하고 완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가

2) 효율성: 달성 결과와 관련해 사용된 자원이 얼마나 되는가

3) 만족감: 시스템, 제품 또는 서비스의 사용으로 인해서 사용자 의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반응이 사용자의 요구와 기 대를 얼마나 충족시키냐

 

<좋은 사용성>

- 정기적 ·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목표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며 만족스럽게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유니버셜 디자인: 각각 능력이 다른 사람들이 사용 가능

- 사용 오류의 위험과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 최소화

-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며 만족스러운 유지보수 작업 가능

 

 

 

 


4-1. 접근성과 웹 표준

 

10가지 사용성 휴리스틱

UI디자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사용성 프레임워크

사용성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

1. 가시적 시스템 상태

2. 실제 사용환경과 메치되는 시스템

3, 사용자의 주도권과 자유

4. 일관성과 표준

5. 오류 예방

6. 회상보다는 인지

7. 사용 유연성과 효율성

8. 아름다운 최소한의 디자인

9. 사용자가 오류를 인지-진단-회복할 수 있도록 도움

10. 도움말과 설명서

 

접근성과 유니버셜 디자인

접근성: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과업을 수행하는 것

             많은 사람이 사용 가능한 제품, 서비스, 시스템을 만들 수 있는 디자인 접근 방식

보행친화도: 정보 탐색, 이용이 용이한 안전한 디자인

 

인간 중심 품질

1. 사용성

2. 접근성

      인간 중심 디자인 - 제품, 서비스, 시스템을 보다 유용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것

3. 사용자 경험 : 사용자 경험 -> 사용자의 인식 및 반응

4. 사용으로 인한 피해 방지 및 최소화 : 사용자 ≠ 인터페이스

     사용 오류 -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동작과 관계없이 기대한 것과 다른 결과를 초래하는 것

 

 

 

 

 

 

4-2. 유니버셜 디자인

 

웹 표준 관장 기관

1. W3C : 프로토콜과 가이드라인을 통해 웹의 모든 잠재력과 가능성을 최대화함

2.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 : 인터넷의 운영, 관리, 개발에 대해 협의하며 프로토콜과 구조적 사안 분석

3. 국제 표준화 기구 : 사용성에 대한 문서

4, 유니코드 컨소시엄 : 세계의 모든 문자의 일관적 표현

5. Ecma 인터내셔널 : 유럽 내 컴퓨터 시스템 표준화

 

웹 접근성 향상

<웹 표준 디자인의 장점>

- 적절한 인덱싱

- 더 일목요연하게 메타데이터 정리 기능

- 더 혀율적인 리뉴얼, 유지보수 가능

<웹 접근성 표준>

- 인지 가능한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 운용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내비게이션

- 이해하기 쉬운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 견고한 콘텐츠와 정확한 설명

 

유니버셜 디자인 4원칙

지원성(Supportive Design)

-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최소의 노력으로 편안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함

수용성(Adaptable Design)

- 사용자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목표 달성 과정도 만족스러워야 함

- 사용자의 환경과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들도 충족시켜야 함

접근성(Accessible Design)

- 사용자의 환경과 방해 요인을 고려하여 장애물 없이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함

안정성(Safety Design)

- 사용자가 오류나 결함 등의 이유로 사용자가 심리적으로나 신체적 위험에 노출되지 않아야 함